주류/와인

[와인] 버건디(Burgundy) - 2

양양's 2023. 4. 27. 08:00

 

안녕하세요 양양입니다 :)

오늘은 프랑스 버건디 지역에 등급 명칭에 관한 정보를 알아보려 해요

 

🤍 버건디 등급 명칭 🤍

샤블리 (Chablis)

샤블리는 버건디 최북단에 위치한 세렝 강 계곡에 위치해있는 마을 단위 명칭이에요

최고의 포도밭은 입지가 좋은 남향의 언덕 위에 조성되어 있죠

 

이 지역의 주요한 기후 상 문제는 서리에요

서리 피해가 심각하여 살수기와 난방 장치를 활용해 서리 피해로부터 보호하죠

최악의 경우에 살수기로 포도를 적셔 얼음으로 코팅시키는 방법이에요

 

이 지역은 샤르도네만 유일하게 허용되는 품종이랍니다

그 외 품종으로는 샤블리 명칭을 라벨에 표기할 수가 없어요

 

기본적인 마을 단위 샤블리는 종종 북향의 언덕과 더 평평한 부지에서 재배되며, 프리미에 크뤼와 그랑 크뤼 포도밭은 남향의 경사면에 위치하여 와인에 농축미와 완숙된 풍미를 부여한답니다

그랑 크뤼와 프리미에 크뤼 와인의 일부는 오래된 오크에서 발효를 하여 숙성시키기도 한답니다

 

코트 도르 (Cote d'Or)

코트 도르의 포도밭은 버건디의 심장부를 형성해요

마시프 상트랄이 코트 도르의 서방 한계선을 따라 이어지며 동향 및 남동향 방향의 경사면에 포도밭이 위치할 수 있는 좋은 입지를 제공하죠

 

코트 도르 지역은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고품질 피노 누아 산지로 유명한 코트 드 뉘와 보다 남쪽에 과일 풍미가 더 풍부한 피노 누아 생산지이면서 최고 샤르도네 생산지로도 유명한 코트 드 본 지역이에요

 

대부분의 피노 누아 그랑크뤼 와인은 코트 드 뉘에서 생산되고, 거의 모든 그랑 크뤼 화이트 와인은 코트 드 본에서 생산된답니다

 

북쪽에서 남쪽으로 코트 드 뉘의 대표 마을로 유명한 곳은 쥬브레 샹베르탱, 샹볼 뮈지니, 부조, 본 로마네, 뉘 생 조르쥬가 있어요

코트 드 본에서 가장 중요한 마을로는 알록스 코르통, 본, 포마르, 볼네, 뫼르소, 퓔리니 몽라셰, 샤샤뉴 몽라셰가 있죠

 

코트 드 뉘-빌라쥬 (Cote de Nuits-Villages)

레드와 화이트 와인 모두에 해당하며, 코트 드 뉘 지역에 위치한 포도밭에서 생산되지만 더 유명한 빌라주 등급 명칭 자격은 부여되지 않는 경우 명시해요

 

코트 드 본-빌라쥬 (Cote de Beaune-Villages)

반드시 레드 와인이어야 하며 코트 드 본에 위치한 마을 중 하나 또는 결합을 통해 생산되지만 예외는 있는 편이에요

 

부르고뉴 오트 코트 드 뉘 (Bourgogne Hautes Cotes de Nuits)

부르고뉴 오트 코트 드 본 (Bourgogne Hautes Cotes de Beaune)

위 두 지역 등급 명칭은 주요 포도밭지대의 서쪽 및 상위 고도에 위치해요

 

고도가 높고 바람에 심하게 노출되어 서늘한 기후가 형성되다 보니 전형적으로 바디감과 농축미가 다소 낮은 와인이 생산되는 것을 말하죠

 

 

🤍 코트 샬로네즈 (Cote Chalonnaise) 🤍

코트 샬로네즈는 코트 도르의 남쪽에 위치해요

샤르도네와 피노 누아를 기반으로 와인을 생산한답니다

 

생산되는 와인은 보다 가볍고 일찍 숙성되는 경향이 있는데, 결론적으로 코트 도르 지역의 와인보다 다소 명성은 떨어지죠

다만 현시점에서는 코트 도르 지역의 유명 와인들은 가격이 너무 올라 가성비 와인을 찾을 때 눈을 돌리게 되는 지역이에요

 

이 지역은 네 개의 마을 단위 등급 명칭이 있답니다

룰리 (Rully)

레드보다 화이트 와인을 더 많이 생산하며, 스파클링 와인 생산의 중요한 중심지이기도 해요

 

메르퀴레 (Mercurey)

가장 명성 높은 레드 와인을 생산해요

 

지브리 (Givry)

네 곳 중에서는 가장 소규모인데, 레드 와인이 특히 인정받고 있어요

 

몽타니 (Montagny)

화이트 와인만 생산해요

 

이들 코뮌은 각각 프리미에 크뤼 포도밭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랑 크뤼는 없답니다

 

부르고뉴 코트 샬로네즈(Bourgogne Cote Chalonnaise)

레드 와인은 피노 누아를 기반으로, 화이트 와인은 샤르도네를 기반으로 코트 샬로네즈에서 생산되는 모든 와인에 적용돼요

 

🤍 마코네 (Maconnais) 🤍

마코네 지역에서는 샤르도네를 기반으로 하는 화이트 와인과, 가메를 기반으로 하는 레드 와인을 주로 생산한답니다

(피노 누아는 비교적 소규모로 재배해요)

 

마콩 (Macon)

마콩 (Macon)은 레드와 화이트 와인 모두를 포괄해요

양질의 화이트 와인은 신선한 사과와 감귤류 과일의 균형된 풍미, 중간 산도, 중간 ~ 무거운 바디감을 갖고 있으며, 유산 발효로 인해 크림 풍미가 감돌기도 해요

레드 와인은 가볍고 과일 풍미를 지니며 일찍 마시기 좋게 생산되는 경향이 있답니다

 

라벨에 마콩 빌라주나 마콩이 먼저 표기되고 그다음 특정 마을 이름이 명시된 화이트 와인의 경우 가격 대비 훌륭한 품질을 자랑해요

루니 (Lugny)와 같은 특정 개별 마을들은 상당한 인기가 있죠

 

마콩 빌라주라 명명하는 와인은 하나의 마을 또는 여러 마을에서 생산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화이트 마콩과 스타일은 비슷한데, 더 완숙된 풍미와 바디, 특성을 드러낸답니다

 

마코네 지역 내에는 많은 마을 등급 명칭이 있으며, 그중에서도 푸이-퓌세 생-베랑이 가장 유명한 등급 명칭이랍니다

 

이 마을들에서 생산되는 와인은 완숙된 열대 과일 및 핵과류 풍미를 드러내고, 대부분은 배럴통에서 일정 기간 숙성하여 질감과 풍미를 더해줘요

 

​이번 버건디 내용에서는 샬로네즈와 마코네를 위주로 정리해 보았어요

코트 드 뉘와 코트 드 본 지역은 각 빌라주 별로 한 번 더 정리할 필요가 있어 이후에 따로 정리할게요!

 

와인을 알아가시는 데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