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양양입니다 :)
와인을 마실 때 느끼는 즐거움 중 하나가 향에 대한 즐거움 인데요
향에 관련한 정보를 나눠볼까 해요!
와인을 마실 때
향이 더 잘 올라올 수 있도록 잔을 굴려서
와인을 돌려줘요
이 때 주의하실 점은
일반 와인은 괜찮은데,
주정강화 와인의 경우 도수가 워낙 높아서 알콜향이 확 치고 올라오기 때문에
포트, 셰리의 경우 굴리지 않고 향을 마셔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향은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어요
1차 향 - 발효 후 존재하는 향, 즉 포도 본연의 과일 향, 꽃, 허브 등
2차 향 - 양조 과정에서 생성되는 향, 바닐라, 토스트 등 오크 숙성을 통해 추출된 향
3차 향 - 숙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향
장기 오크 숙성을 통한 커피, 토피, 카라멜 과 같은 향과
오랜 병입 숙성을 통한 휘발유, 꿀, 버섯 과 같은 향
와인은 1, 2, 3차 향이 공존할 수 있지만
유독 지배적인 향을 띄는 경우가 있어요
이 향들을 통해서 소믈리에 분들은
와인을 분류한다고 해요
1차 향이 지배적인 경우 '어린' 와인
2차 향이 지배적인 경우 '숙성 중' 인 와인
3차 향이 지배적인 경우 '완전히 숙성' 된 와인
그리고 매력적인 아로마가 희석되고, 불쾌한 아로마가 발현되기 시작하면서
'때가 지난' 와인 이라고 표현해요
그럼 향의 종류가 어떤 것이 있는지 아래 표로 정리해 볼게요
1차 향
|
꽃
초록 과일
감귤류 과일
핵과류
열대 과일
붉은 과일
검은 과일
말린/익힌 과일
식물성
허브
향신료
기타
|
아카시아, 캐모마일, 장미, 제비꽃, 갓 피어난 꽃
사과, 배, 무과, 포도
자몽, 레몬, 라임, 오렌지 껍질, 레몬 껍질
복숭아, 살구, 천도 복숭아
바나나, 리치, 망고, 멜론
레드커런트, 크랜베리, 라즈베리, 딸기
블랙커런트, 블랙베리, 블루베리, 블랙체리
무화과, 말린 자두, 건포도, 말린 체리, 구운/조린 과일
초록 피망, 잔디, 아스파라거스
유칼립투스, 민트, 딜
검은 후추, 흰 후추, 감초
부싯돌, 젖은 돌
|
2차 향
|
효모
MLF
오크
|
비스킷, 빵, 토스트, 브리오슈
버터, 치즈, 크림
바닐라, 정향, 육두구, 삼나무, 그을린 나무향, 훈제, 초콜릿
|
3차 향
|
산화 풍미
과일 풍미(화)
과일 풍미(레드)
병 숙성(화)
병 숙성(레드)
|
아몬드, 호두, 커피, 토피, 카라멜
말린 살구, 말린 사과, 말린 바나나
무화과, 말린 자두, 말린 블랙베리
휘발유, 등유, 계피, 생강, 육두구, 견과류, 버섯
가죽, 흙, 버섯, 야생 동물, 담배, 젖은 잎
|
저 외에도 느낄 수 있는 향은 너무나 많지만
사람마다 후각의 예민한 정도도 다르고
같은 향도 연상되는 이미지가 다르기 때문에
노란색으로 칠해진 칸으로 생각하시는게 더 편하실거 같아요
과일 향이 지배적일 때는 붉은 과실일지, 검은 과실일지
이 정도만 구분해도 충분하다고 생각되거든요!
추가로 와인의 상태에 관한 정보도 적어둘게요
TCA(Trichloroanisole) - 눅눅한 판지를 연상시키는 향
코르크 오염으로 발생되는 경우가 있어요
환원반응(Reduction) - 고약한 냄새, 썩은 달걀, 삶은 양배추, 하수구 같은 냄새
이 경우는 병을 개봉하고 시간이 지나면 사라지는 경우가 있기에
혹시나 느껴지신다면 잠깐 두었다 다시 맡아보시는걸 추천드려요!
이산화황 - 성냥개비에서 나는듯한 매캐한 향
황이 많이 첨가되있는 경우 날 수 있는데,
산화보존제로 사용하는 것이고 금방 날아가기 때문에
스월링을 많이 하셔보세요
산화 - 밀봉이 잘못된 경우
상태 불량 - 생동감과 신선함을 잃어버린 와인
보관 불량인 경우죠, 코르크 위에 곰팡이가 피엇다던가..
휘발성 산 - 모든 와인이 갖고 있지만
과한 경우 매니큐어 제거제, 아세톤과 같은 냄새가 코를 찌르는 경우가 있어요
브레타노마이시스(Brettanomyces - 브렛)
땀에 절은 말 냄새, 플라스틱, 동물 아로마를 부여하는 효모인데
요즘 핫한 내추럴 와인에선 많이 갖고 있기도 하지요
단, 과할 경우엔 와인의 결함으로 인식될 수 있어요
일부 와인은 일부로 유도해서 휘발성 산, 브렛, 산화 스타일을 만들기도 하지만
그렇지 않은 와인에서 위 같은 사례가
너무 과할 경우엔 구매하신 샵에 문의해볼 필요가 있기도 해요
요기까지 와인의 향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주류 > 와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와인]와인의 맛 - 풍미와 여운 그리고 결론 (0) | 2023.02.14 |
---|---|
[와인]와인의 맛 - 탄닌, 알콜, 바디감, 그 외 (0) | 2023.02.13 |
[와인]와인의 맛 - 당도와 산도 (0) | 2023.02.12 |
[와인]와인의 외관 보는 방법 (0) | 2023.02.08 |
[와인]와인은 무엇일까? (0) | 2023.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