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류/와인

[와인]포도나무 수종

 

안녕하세요 양양입니다 :)

 

오늘은 와인이 만들어질때 가장 필요한 포도,

그 포도 열매를 맺는 나무에 관해 알아볼까해요

 

포도나무와 포도 품종에 대해 알고나면

우리가 흔히 말하는 까쇼, 멜롯, 쉬라 등

품종마다 왜 풍미와 맛에 차이가 있는지도 알 수가 있어요

 

포도나무 수종

포도 나무의 수종은 정말 다양하고 많지만

와인에 관련해서는 아래 두 가지는 알고 가시는게 좋습니다

 

★비티스 비니페라 (Vitis vinifera)

유라시아의 주요 품종입니다

와인 양조에 활용되는 거의 모든 포도가 이 종에 해당해요

 

북미 토착 품종 (American vines)

주요 북미 지역 토착 수종에는 세 가지 종류가 있어요

비티스 루퍼스트리스(V. rupestris)

비티스 리파리아(V. riparia)

비티스 베를란디에리(V. berlandieri)

 

와인 양조에는 거의 활용되지 않지만,

필록세라 라는 해충에 저항력을 갖고 있어

비티스 비니페라 종과 접붙이기를 하는데 사용합니다

 

 

가끔 잘못 알고 계시는 이야기 중 하나가

"식용 포도로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양조용으로 쓰이는 것이다"

라고 하시는 건데,

사실 양조용으로 쓰이는 비티스 비니페라는

식용 포도보다 훨씬 달고 맛이 좋은 포도입니다

 

양조용 포도(비티스 비니페라)

식용 포도에 비해 포도알 크기가 작고

과육에 비교해 껍질이 두껍습니다

 

식용 포도(비티스 라브로스카)

알이 크고 껍질이 얇습니다

 

식용 포도의 당도 평균 17 ~ 19 브릭스(Brix)

양조용 포도의 당도 평균 24 ~ 26 브릭스로

당도도 훨신 높고 산도도 높아요

 

그럼 왜 더 맛있고 좋은 포도가 양조용으로 쓰이는 걸까요?

와인을 양조하는데 있어서 껍질에

색, 탄닌, 풍미가 많이 함유되어있기 때문이에요

 

이 부분은 이후 양조에 관련해서 글을 따로 올리겠습니다 :)

 

오늘은 와인을 만들 때 필요한 포도의 포도나무 수종에 관해

정리해보았어요

 

여러분들이 와인을 알아가는데 있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담에 또 뵈용

 

'주류 > 와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와인]카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  (0) 2023.02.20
[와인]포도나무 수종(2)  (0) 2023.02.19
[와인]와인 서비스  (2) 2023.02.17
[와인]와인 보관 방법  (0) 2023.02.16
[와인]와인과 음식  (0) 2023.02.15